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신용카드 발급 캐시백 혜택 받는 법(토스,네이버쇼핑,뱅크샐러드)
    생활 정보 2022. 7. 19. 21:50
    반응형

     

     

    몇 년 전 카드사의 권유 전화를 받고 신용카드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다

     

    기존에 쓰던 카드가 혜택이 부족해서 새로운 카드를 발급받으려고 찾아보던 중

     

    새로운 카드를 발급받으면 12만원을 캐시백 해준다는 말이 눈에 띄었다

     

    무슨 카드가 어떤 조건으로 캐시백을 해주는건지

     

    확인하는 방법과 발급 시 주의해야 할 점을 정리해보았다

     


     

    캐시백 가능한 카드 찾아보기

     

    1. 토스

    2. 네이버 쇼핑

    3. 뱅크 샐러드

    4. 카드 고릴라

     

     


    '토스' 앱에서 찾아보기


     

    토스 앱 실행 후 하단 우측 '전체'를 누르고

     

    내리다 보면 보이는 '카드'에서 '혜택 좋은 신용카드 만들기' 클릭

     

     


    '네이버 쇼핑'에서 찾아보기

    네이버 쇼핑 접속 후 오른쪽 위 '세줄표시' 클릭 'N Pay' 클릭

     


     

    오른쪽 위 '혜택' 클릭 포인트를 더 모으고 싶다면? 문구 아래 '카드' 클릭

     

    토스랑 캐시백 금액이 다른 카드가 있다

     

    네이버 쇼핑은 현금 캐시백이 아닌 네이버 페이 포인트를 주는 경우도 있다

     

    네이버 페이를 잘 안 쓴다면 고민해보자

     

     

     


    '뱅크 샐러드'  앱에서 찾아보기

     

    뱅크샐러드 앱 실행 후 하단 우측 '전체'를 누르고

     

    '혜택'에서 '혜택 더 받는 카드 이벤트' 클릭

     

     


    '카드고릴라'에서 찾아보기

    카드고릴라

    카드고릴라 홈페이지 상단 '이벤트' 클릭

     

     


    캐시백 조건

     

    캐시백을 받으려면, 이벤트 기간 이전 6개월간 해당 카드사의 카드로

     

    결제를 하거나 탈회한 이력이 없어야 한다

     

     

    신규회원이거나, 6개월 이전에 탈퇴한 회원이면 캐시백이 가능하다

     

     

    위 조건을 충족한다면 이벤트 응모

     

    이벤트 기간 내 지정된 금액 이상을 사용하면 된다

     

     

    캐시백은 보통 결제일이 포함된 달의 다음 달 말일에 입금된다

     

    발급받고 나서 2개월 정도 후에 들어온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캐시백 최대한 효율적으로 받는 꿀팁


    (좌)  토스                    (우)  네이버 쇼핑

     

    같은 카드도 어디서 이벤트를 신청하느냐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다르다

     

    위 카드의 경우  토스에서는 현금으로 계좌에 캐시백 해주고,

     

    네이버 페이에서는 네이버 페이 포인트로 10만 포인트를 준다

     

     

    조금이라도 더 알뜰하게 받으려면, 귀찮더라도 네 군데 모두 꼭 비교해보자

     

     

    캐시백 금액이 같다면 사용 혜택이 더 좋은 카드로 받자

    (연회비도 고려해서 발급받아야 한다)

     

     

    토스 이벤트 주의사항

     

    발급 신청 후 응모하기(이벤트 신청)를 잊지 말고 꼭 해야 한다

    까먹고 안 하면 캐시백 안 해준다,,

     

     


    마치며

     

     

    부업 삼아 매달 카드를 새로 발급받고 있는데,

     

    아무래도 꽁돈이 들어온다는 생각에

     

    카드를 새로 받을 때마다 이곳저곳 긁고 싶은 마음이 커진다

     

     

    적당히 쓰자,,,,,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